최근 많이쓰이는 것은 crypto.randomUUID() 함수이며 JavaScript와 Node.js에서 UUID를 생성할 수 있는 내장 메서드로, 별도의 외부 라이브러리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메서드는 자동으로 RFC 4122 버전 4 UUID를 생성하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 2021년에 추가되었습니다. 이 기능은 Node.js 버전 15.6.0 및 이후 버전과 함께 도입)
const crypto = require('crypto');
const uuid = crypto.randomUUID();
console.log(uuid); // 예: 'f47ac10b-58cc-4372-a567-0e02b2c3d479'
Node 환경
const uuid = crypto.randomUUID();
console.log(uuid); // 예: '4e5b2927-00a9-4620-b295-8a5570beec29'
브라우저 환경
이전에 많이 쓰였던 것으로 여전히 현역인 UUIDV4은 일단 외부 라이브러리로 import 또는 require()문을 사용합니다.
npm install uuid
const { v4: uuidv4 } = require('uuid');
console.log(uuidv4()); // 예: '9b1deb4d-3b7d-4bad-9bdd-2b0d7b3dcb6d'
브라우저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Skypack 같은 CDN을 통해서 브라우저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script type="module">
import { v4 as uuidv4 } from 'https://cdn.skypack.dev/uuid';
console.log(uuidv4()); // UUIDv4 출력
</script>
VectorSource, VectorLayer (0) | 2024.05.03 |
---|---|
Array.from() 활용 (0) | 2024.04.30 |
window.location.search (0) | 2024.04.25 |
URLSearchParams, qs - 쿼리 스트링을 다루는 API (0) | 2024.04.25 |
firebase hosting + vite.js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