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를 설정해야 할때가 있습니다. 특히 무료서버에서 받은 ip 주소를 구매한 도메인에 연결해야 할 때 입니다. 네임서버에서 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 설정에 대하여 핵심을 정리 합니다. 먼저 둘다 설정하는 것이 좋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만 해도 됩니다. 앞에 www 또는 app 등이 붙는 것은 전부 서브 도메인 입니다.
A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합니다. 4ok.kr 이라는 도메인이 있다면, 이 도메인을 특정 IP 주소, 예를 들어 199.36.xxx.100 에 연결하기 위해 A 레코드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브라우져 주소창에 4ok.kr를 입력하면, ip 주소가 199.36.xxx.100 으로 연결됩니다.
4ok.kr 199.36.xxx.100
www.4ok.kr 199.36.xxx.100
app.4ok.kr 199.36.xxx.100
CNAME 레코드는 하나의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 이름으로 매핑합니다. 예를 들어, www.4ok.kr와 4ok.kr 을 리다이렉트하고 싶을 때 CNAME 레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www.4ok.kr 와 4ok.kr 는 okkr-420413.web.app 을 가리키게 됩니다. 참고로, 여기서 예로 들은 okkr-420413.web.app 은 Google Firebase Hosting Account 입니다.
www.4ok.kr okkr-420413.web.app
4ok.kr okkr-420413.web.app
CNAME 레코드는 일반적으로 서브도메인에 사용되며, 루트 도메인(예: 4ok.kr)에는 CNAME 레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루트 도메인에 CNAME을 설정하면 다른 DNS 레코드(예: MX 레코드)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 CIDR (1) | 2024.04.25 |
---|---|
내부테스터 - 안드로이드 (0) | 2024.04.22 |
비공개 키 , 개인 키 (1) | 2024.03.17 |
Google Cloud 제품 및 솔루션 - 2024.03.15 (3) | 2024.03.15 |
IAM -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0) | 202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