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normalize.css 와 CssBaseline

html + css

by 폴리프레임 2025. 5. 12. 12:37

본문

반응형

 

normalize.css

  •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을 정리하여 모든 브라우저에서 일관된 스타일을 제공하는 css 파일 입니다.
  • 기본적으로 HTML 요소의 스타일을 조정하여 브라우저 간 차이를 줄입니다.
  • 예를 들어, <h1> 태그의 크기나 <button>의 기본 스타일을 통일하는 역할을 합니다. 
  • HTML5 요소 지원 ( <main>, <article> )

활용 방법

1. CDN을 사용하여 적용

HTML 의 <head> 태그 안에 다음 코드를 추가 하면, 별도의 다운로드없이 온라인으로 최신버전을 바로 사용할 수 있음

<link rel="stylesheet" href="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normalize/8.0.1/normalize.min.css">

2. 프로젝트에 직접 다운로드하여 적용

공식 사이트에서 normalize.css 파일을 다운호드하여 프로젝트의 css 폴더에 저장한 후, HTML에서 불러옵니다.

<link rel="stylesheet" href="css/normalize.css">

 

 

MUI의 CssBaseline

 

  • Material UI에서 제공하는 CSS 리셋 컴포넌트입니다.
  • normalize.css와 유사하지만, Material UI 디자인 시스템에 맞춰 추가적인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모든 브라우저에서 <body>의 기본 마진 제거
  • 폰트 스무딩 적용, 박스 모델 통일 (box-sizing: border-box;) 등 MUI 제공 컴포넌트 활용

활용 방법

1. CssBaseline 을 활용하려면 MUI 라이브러리를 가져와야 합니다.

import CssBaseline from '@mui/material/CssBaseline';

function MyApp() {
  return (
    <>
      <CssBaseline />
      {/* 나머지 애플리케이션 코드 */}
    </>
  );
}

 

2. 주로 Vite React 프로젝트에서는 main.jsx 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import { StrictMode } from 'react'
import { createRoot } from 'react-dom/client'
import App from './App.jsx'
import { CssBaseline } from '@mui/material'

import '@fontsource/roboto/300.css';
import '@fontsource/roboto/400.css';
import '@fontsource/roboto/500.css';
import '@fontsource/roboto/700.css';

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render(
  <StrictMode>
    <CssBaseline />
    <App />
  </StrictMode>,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틸트)선택자 , + 선택자 활용  (0) 2025.05.13
var(--clr) 전역사용, 개별사용  (0) 2025.05.13
콜론 - 단일 콜론, 이중 콜론  (2) 2025.01.28
radialGradient  (0) 2025.01.07
viewport, viewBox 비교  (0) 2025.01.07

관련글 더보기